Popular Posts
-
도로, 철도, 단지의 시공에 있어 용지확보는 공사비와 큰 관계가 있다. 또한 "산지관리법"과 같은 법규정에 의해 비탈면의 수직 높이가 제한되어 있다. (산지를 훼손할 수 있는 비탈면의 수직 높이는 15m 이하로 제한되어 있다.) 부지...
-
"보강은 하되 네 이웃의 땅은 침범하지는 말라~~" 가끔은 공사용지 내에서 보강공법(네일공법 또는 앵커공법)을 적용하기 어려울 때가 있다. 이런 경우 개인용지를 침범하지 않고 적용할 수 있는 공법중에 억지말뚝 공법이 있다. 말뚝(강관...
-
네델란드의 한스 블랑커를 아시는지? 제방에 물이 새는 것을 발견하고 밤새도록 온몸으로 막았다는 그 이야기..... 더이상 물이 새는 구멍을 손가락으로 막을 필요는 없다! 지하 굴착을 하다보면 간혹 폭포수 처럼 물이 나올때가 있다. 천공으로 인한 누수로...
-
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 연결철도 건설공사가 진행 중이다. 운항중인 비행 활주로 하부를 통과하는 연결 통로 건설공사로 외국에서 그 사례를 찾기 힘들 정도의 어려운 공사이다. 현장에서 기술자문 요청을 받고 상황을 확인하니 기존 지하철역에서 제2 여객터...
-
정착장에 위치한 내하체는 강연선과 결합되어 있어야 한다. 그래야만 자유장을 통해 전달된 힘이 내하체에 전달되어 인장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. 강연선의 고정방식으로는 그립(Grip)방식과 웨찌(Wedge)방식이 있다. 영구앵커에서는 그립을 사용하고...
-
전주의 도시개발사업(에코시티) 부지조성 현장의 1차 시공분 6개소 약 2,800m2 의 파란만장 보강토옹벽 시공기를 올려봅니다. 시공 전 현장 모습입니다. 경계측량이 되어있고 용지경계에 토사 다이크를 설치해 놓았네요. 요놈의 경계를 따라서 보강토 옹...
-
보강은 하되 내 땅에 박혀 있는 철근은 빼주고 가라! 제거식 네일은 가설 보강재로 시공 중에는 보강재의 역할을 하지만 시공이 끝나면 지중에 남아 있는 보강재를 제거할 수 있는 공법이다. 왜! 제거를 해야 하나? 옆 집에서 빌딩을 올린다고 내땅 밑으로 ...
-
도로에 붙어있는 십자가는 종교적 상징이 아니다! 가평군에서 발주한 "자연재해 위험지구 정비공사" 중 본사의 UCD ANCHOR 시공 이야기이다. 북한강을 끼고 경춘가도를 달리다보면 가평이 나온다. 재즈페스티벌로 유명한 자라섬이 있...
-
일반적으로 비탈면 보강공사는 TOPDOWN방식으로 진행한다. 그러나 여러가지 현장 상황 때문에 TOPDOWN방식 또는 크레인을 이용할 수 없을 때도 있다. 이러한 상황에 윈치를 이용한 시공방법이 있다. 윈치는 비탈면 상부에 와이어와 롤러를 배치하고 하...